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5

산업 안전 보건 교육 계획 수립 및 시행 산업 안전 보건법 제29조 근로자 교육, 제32조 직무 교육이 있습니다. 안전 보건 관계자가 받아야 하는 직무 교육은 위탁 교육 기관을 통해 이수해야 합니다. "위탁"이란, 교육 관련 사업을 운영하는 협회 등의 기관을 통해 법적 의무 교육을 해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안전의 모든 것' 홈페이지 개편으로 관련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STEP 5. 안전보건교육 계획 수립 및 시행 2022. 2. 16.
사업장 안전 보건 관리 규정과 작업 지침 수립 방법 안전 보건 이슈 관련, 모두가 지켜야 할 질서를 확립하는 과정입니다. 한번 정해진 규정과 작업지침 등은 대표자 회의 등 소통 기구를 통해 야만 바뀔 수 있습니다. 안전 보건 경영 시스템 구축의 일부이며, 산업 안전 보건법 제25조 안전 보건 관리 규정 작성 등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안전의 모든 것' 홈페이지 개편으로  관련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장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업지침' 수립은 필수! 2022. 2. 12.
안전인증˙자율안전확인 신고대상 기계기구 한방에 정리할께요! (ft. #산업안전보건법)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기구 중 그라인더, 예초기 , 고소작업대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안전관리자가 해야 하는 가장 첫 번째 항목은 안전인증마크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KCS 마크!! 좀 더 나아가 어떤 관점에서 유해위험기계기구들을 접해야 하는지 그 기준이 필요합니다. 안전인증˙자율안전확인 신고대상 기계기구 산업안전보건법 제6장 유해·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입니다.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기구와 자율안전신고를 해야 하는 확 계기 구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기계·기구에 있어서 크게 보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방호조치 2. 타워크레인에 대한 내용 3. 안전인증대상기계 4. 자율안전 확인대상 기계 5. 안전검사 안전인증대상계, 자율안전 확인대상 기계는 고용노동부 장관이 실시.. 2022. 2. 10.
공정 안전 보고서(PSM)의 절차는?(ft. 이행 상태 등급별 차등관리) 공정 안전 관리 우리가 PSM이라고 일컫는 이것의 절차는 제조업종 중 산업 안전 보건법에 따라 제출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공정 안전 보고서의 내용 중 공정 위험성 평가서가 최대 4년 범위 이내에서 정기적으로 작성된 경우 산업 안전 보건법 제36조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공정 안전 보고서(PSM)의 절차는? 산업 안전 보건법 제4장 유해 위험 방지 조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크게 법률 제36조 위험성 평가, 제42조 유해 위험 방지 계획서의 제출 등, 제44조 공정 안전 보고서의 제출 작성 등이 큰 줄기가 됩니다. 사업장은 법률 제36조에 따라 위험성 평가를 시행하고 검토해야 하는데, 제42조, 제44조에 따라 어느 조건하에 유해 위험 방지 계획서, 공정 안전 보고서를 제출.. 2022. 1. 28.
안전 보건 경영 계획 수립과 이행 평가 문서화 방법 경영층, 안전 보건 활동의 근거를 마련하는 절차입니다. Management Program과 Management Review라고 부르는 이 문서는 ISO45001 규격의 경영층 안전 보건 활동의 일부이며, 산업 안전 보건법의 제14조 이사회 보고 및 승인과 관련 있습니다. '안전의 모든 것' 홈페이지 개편으로  관련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안전보건경영시시템 구축(안전보건경영계획 수립과 이행 평가 문서화) 2022. 1. 26.
위험성 평가 담당자 교육은 매년 받아야 하나요? (ft. 우수 사업장 인정등 위험성 평가 기법) 위험성 평가는 모든 사업장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안전 보건 활동의 꽃입니다.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위험성 평가 인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체는 한국 산업 안전 보건 공단입니다. 이 제도의 평가 항목에 들어가는 내용 중 하나가 위험성 평가 담당자 교육입니다. ○ 위험성 평가 담당자 교육은 꼭! 받아야 할까? ○ 우수 사업장 인정 신청 방법과 절차 위험성 평가 담당자 교육은 의무 사항?! 산업 안전 보건법 제36조 위험성 평가의 실시에 따라 사업주는 위험성 평가를 하여야 하고, 해당 작업장의 근로자를 참여시켜야 합니다. 아울러, 중소 규모의 사업장의 경우 위험성 평가에 대한 우수 사업장 인정 제도가 있습니다. 정부에서 혜택을 주면서 위허성평가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제도입니다. 위험성 평가 .. 2022. 1. 25.
안전 보건 경영 시스템 조직도 구성: 제대로 하고 있는거 맞아? 사업장 조직도 구성 전, 산업 안전 보건법의 안전 보건 관리 체제를 먼저 살펴봐야 합니다. 안전 보건 관계자는 안전 보건 관리 책임자, 관리 감독자, 안전 관리자, 보건 관리자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조직도에는 안전 보건 관계자가 분명히 명시되어야 합니다.  '안전의 모든 것' 홈페이지 개편으로  관련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하는 8가지 도구 2022. 1. 24.
안전보건전담인력 구성 조건은? (ft.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 전담인력을 구성해야 한다라는 내용은 중대재해 처벌법이 발의되면서부터 화두에 있던 내용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명시되었던 안전보건관리체계와 구조적인 차이를 이해하고 사업장에 적용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사업장에서 안전보건에 관련된 일련의 활동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곱씹어봐야 합니다. 안전보건 전담인력 구성은 안전보건관리체계와의 연관성 중대재해 처벌법 제4조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 조치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상시근로자 수가 500명 이상, 건설사업의 경우 시공능력 평가 순위 200위 이내의 사업장은 안전보건 전담조직을 구성해야 합니다. 중대재해 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을 나란히 두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사업장에 대한 구체적인 안전 보건에 .. 2022.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