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 평가는 산업 안전 보건법 제36조에 위험성 평가 관련입니다. 최근 위험성평가 핵심 요인 기술법(OPS)등 중 소규모 사업장에서도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Hazard 와 Risk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유해 위험 요인(Hazards)의 개념 그리고 RA(고시 내려받는 방법)
포털 사이트(네이버 또는 다음 외)에서 "고용노동부" 검색 → "정보공개" → "훈령·예규·고시" → 검색창에 "위험성 평가"
고시에서는 위험성 평가를 하는 절차등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업장에서 위험성 평가에 대한 교육이나 관련 지식을 전달할 때, 기본적인 내용은 고시에 있는 내용을 참조하면 됩니다.
단, 대부분의 자료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은 하지만, 결코 놓쳐서는 않될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유해 위험 요인의 개념과 위험성추정 후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생각의 구조입니다.
먼저 유해 위험 요인이란(hazard), 말 그대로 위험성을 유발할 수 있는 어떤 것입니다. ISO45001에서는 hazard라고 표현합니다. 아주 단순하게 사업장을 떠올려보세요. 비계, 사다리, 물에 젖은 전선 등이 위험해 보입니다. 바로 이 단어들을 유해위험요인 즉 Hazards라고 부릅니다.
유해위험 요인이 어떠한 방식으로 재해와 연관되어 있을 까요? 비계를 타고 작업을 하다 보면 추락 사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사다리 전도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물에 젖은 전선을 맨손으로 다루다가 감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내용을 유해위험요인을 파악(Risk Aassessment)한다라고 얘기합니다.
이렇한 유해 위험 요인(Harzards)이 어떤 상황에서 일어났을 때, 어떤 재해가 생기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Risk의 개념입니다. 우리는 Risk Assessment 라고 부릅니다.
재해를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합니다. 국내의 경우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한국 산업 안전 보건 공단 산업 재해 현황 문서 기준)
- 떨어짐
- 넘어짐
- 깔림, 뒤집힘
- 부딪힘
- 물체에 맞음
- 끼임
- 절단·베임·찔림
- 교통사고
- 무리한 동작
- 화재·폭발·파열
- 기타(절단·베임·찔림·감전·이상온도접촉·빠짐·익사·화학물질누출·산소결핍·동물상해 등)
위험성 감소 대책을 생각하는 방법(하이 라키 컨트롤; Hierarchy Control)
위험요인의 정량적(수치) 평가는 가능성과 중대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서 가능성은 사고가 일어날 확률, 중대성은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 어느 정도의 피해가 예상되느냐입니다. 보통은 5(가능성=빈도수) x 4(중대성=심각성)을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어느 정도의 재해(사고)를 허용가능한 위험성 평가 시 허용 가능한 범위로 볼 것인지는 사업장에서 규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고시 참조), 어떤 사업장에서는 3일 이상의 휴업이 일어나지 않는 모든 사고의 가능성이 낮은 경우(하)일 때는 허용 가능하다로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위험성 추정하는 방법을 알고 시행하는 것 외에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위험성을 낮추는 기법입니다. 허용불가능한 작업이라고 판단되었을 때 우리는 어떻게 그 위험성을 낮춰야 할까요?!
하이 라키 컨트롤(계층적 제어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구조를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ESEAP입니다. 여러 이론들이 있지만 위험성 감소대책의 우선순위는 Hierarchy Control(하이라키 컨트롤)에 의해 움직입니다.
위험성 추정 후 허용 불가능하다고 판단이 되면, 그다음 단계는 어떻게 위험성을 줄이느냐입니다. 아래의 5가지 ESEAP를 꼭! 기억하세요^^ 방법론적인 이야기를 할 때 논리를 펼칠 수 있는 공식입니다.
Elimination: 작업의 폐지,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작업을 배제합니다. 예) 고소작업이 이루어질 위치의 설계변경
Substitution: 위험이 적은 행위로 대체. 예) 비계작업 대신, 고소작업대로 작업
Engineering Controls: 인터록, 방호조치, 방호문, 국소배기장치 등
Administrative Controls: 매뉴얼 정비, 출입금지, 노출 관리, 교육훈련 등
PPE: 가장 최후의 수단, 각 위험상황에 맞는 안전보호구 착용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산업안전보건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 관리자 선임 확인 방법(ft. 법정 직무 교육 신청) (0) | 2022.08.21 |
---|---|
NEBOSH IG1 과 시험 답 적는 방법(ft. 문제 해결 방법을 보여줘야 합니다!) (0) | 2022.08.18 |
22년 8월 꼭 확인해야 하는 산업 안전 보건법 주요 개정 사항 (0) | 2022.08.16 |
우리가 법정의무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전화에 속는 이유(ft.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 (0) | 2022.08.12 |
안전보건교육계획 수립 시 인터넷교육, 집체교육 선택하는 기준은?!(ft. 고용노동부 고시, 안전보건교육규정) (0) | 2022.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