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자가 봐야 하는 필수 산업안전보건법령7 산업 안전 보건 위원회, 협의체 회의, 노사 협의체 구분 안전 보건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업장 조직이 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산업 안전 보건법 제24조 산업 안전 보건 위원회, 시행 규칙 제79조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법 제75조 건설업에서 운영하는 노사 협의체 운영 등이 있습니다. 위 세 가지에 대한 개념이 분명해야 합니다. 안전 보건 관련 법적으로 규정된 회의 3가지 안전 관리자로서 사업장에서 업무를 하다 보면 한 달에 한 번씩 전체 회를 하면서, 안전 보건에 관한 이슈를 정리하게 됩니다. 모든 회의 내용이 안전 보건에 관한 내용은 아닙니다. 그런데 이 회의를 산업 안전 보건 위원회라고도 부르고 또는 협의체 회의라고도 불립니다. 무엇이 다를까요? 산업 안전 보건법 제2장 안전 보건 관리 체제의 내용 중 제24조 1. 산업 안전 보건 위원회를 운영.. 2022. 10. 27. 산업 안전 보건법 제2장 안전 보건 관리 체제 등 산업 안전 보건법 제2장 안전 보건 관리 체제 등은 꼭! 정독하고 툭 치면, 나와야 하는 법 조항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안전 보건 경영 시스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우선 산안법 제14조 이사회 보고 및 승인 등 관련입니다. ○ 안전 보건 관계자가 알아햐 할 이사회 보고 및 승인 절차 ○ 안전 관리자 필수 산업 안전 보건 법령 이사회 보고 및 승인과 안전 보건 관계자 꼭! 알아야 할 개념의 출발선 2020년 산업 안전 보건법이 전면 개편되면서 중요성 면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조항 중 하나입니다. 취지는 경영진 또한 안전보건에 대해 최소 1년에 한 번씩이라도 모니터링을 하고 그 결과에 있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대기업 A그룹이 있다고 .. 2022. 10. 25. 산업 안전 보건법 제1장 총칙 도급과 수급의 개념 안전 관리자를 처음 접했다면, 산업안전보건법을 몸에 완전히 익숙해지도록 익혀야 한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산업 안전 보건법이 기본입니다. 안전관리자는 사업장이, 사업주가 언제든 안전에 대해 물어볼 수 있는 법적 대리인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가장 먼저 봐야 할 법을 차근차근 소개하겠습니다. 도급인과 수급인의 개념 건설업에서는 조금 다릅니다. 총칙을 그냥 읽는 것이 아닙니다. 산업 안전 보건법 전반에 걸쳐 사용하고 있는 아주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도급인, 수급인의 개념입니다. 산업 안전 보건법은 크게 3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법, 시행령, 시행규칙입니다. 산안법 제2조 (정의) 6 ~ 13번까지의 내용은 여러 번 읽어 보고 숙지해야 할 내용입니다. "도급"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2022. 10. 2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