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

공급사슬관리(SCM)의 뜻 개념 정리(ft. 기업진단지도 경영학 이론#1)

by hseplanner 2022. 8. 8.

공급사슬 관리(SCM)의 기본적인 개념은 자재 서비스의 공급자가 도매나 소매를 통해 고객에게 인도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산업안전지도사 기업진단 지도 내용 중 경영학에 관련된 내용으로 실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는 SCM(Supply-Chain -Management)에 대한 개념 정리입니다. 

 

 

 

공급사슬(SCM)의 기본 개념

공급사슬의 큰 맥락은 내부와 외부로 나뉩니다. 즉 내부공급사슬(Internal Supply Chain)과 외부 공급사슬(External Supply Chain)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공급자와, 생산자가 기업의 내부에 존재하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내부 공급사슬, 기업 외부에서 공급자와 고객과의 소통이 일어나는 것을 외부 공급사슬이라고 합니다. 

 

고객의 수요와 공급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개념을 이해하기 쉽습니다. 기업에서 물건을 팔기 위해 무조건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이익을 최대화 시켜야하는 목적을 가진 집단에서 보기에 조금 논리적이지 않습니다. 고객이 얼마나 이 물건을 필요로 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생산량을 잘 계획해서  제품 공급에 차질(Lead time=조달기간)이 없는 최선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공급사슬 관리라고 합니다. 

 

단, 공급사슬관리는 제품의 수요와 공급량의 최선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객 수요변동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은 가능하나, 우수고객 수요에 대한 예측 불가능한 변동에 대해서는 약합니다. 이 정도의 기본 개념을 가지고 용어 정리가 되면 , 공급사슬에 대한 시험문제를 해결하는데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공급사슬(SCM) 이론에서 많이 다루는 용어 정리

채찍 효과(Bullwhip Effect) - 수요변동의 불확실성(고객관점에서 원인 분석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형태를 말함)에 대한 각 개체별 과잉반응으로 인해, 공급에 차질이 생겨 재고관리가 잘 되지 않는 현상

 

동기화(Synchorrization) - 전체공급사슬의 실시간 정보공유, 즉 채찍 효과에 대비한 전략적 제휴 시스템 구축, 아래와 같이 공급차 측면과 고객의 측면에서 필요한 정보의 관점이 다름을 파악하고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

 

공급자 측면에서의 공급사슬 관리(SCM) - 공급자에서 제조사까지의 프로세스

  • 물류비, 시간 등을 고려한 적절한 공급사 네트워크 구성
  • 입지선정, 제조사와의 정보공유
  • 전략적 제휴
  • 표준화, 모듈화 등을 고려한 사전 사후 제품 및 생산설계
  • 크로스 도킹
  • 자동발주 시스템

※ 크로스 도킹 - 배달된 상품을 수령 즉시 배송 지점으로 배송

 

고객 측면 - 고객과 제조사의 관계

  • 효율적인 유통전략, 판매점의 너트워크 구성, 입지선정
  • 주문 방법
  • 고객 수요변동에 대한 예측
  • 정보공유를 위한 전략적 제휴
  • 판촉활동의 최적화

하우리(h.lee) 공급사슬 전략

  • 효율적 공급사슬 관리 - 긴 제품 수명주기와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요를 갖는 제품
  • 반응적 공급사슬 관리 -  제품 수명주기가 짧고 고객의 취향이 쉽게 변하는 패션제품 등
  • 민첩한 공급사슬 관리 - 고객 욕구에 대한 유연적 대응이 필요할 때
  • 위험회피 공급사슬 관리 - 공급이 불확실할 때
  • 지속가능 공급사슬 관리 - 효율적인 공급망과 함께 관련된 환경, 사회적 및 경제적 영향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

대량 고객화(Mass customization)

  • 주문생산공정 - 고객 주문 대응해서 생산하는 방식
  • 조립생산공정 - 수요예측을 토대로 하여 중간 조립품과 구성품을 생산하고 고객의 주문에 따라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형태, 주문생산과 재고 생산의 중간 개념
  • 재고 생산공정 - 품목을 재고로 보유함으로써 즉각적인 납품요구에 대응, 인도 시간을 줄이는 것을 의미를 둠, 표준화된 제품계열을 재고의 형태로 보관하여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음
  • 모듈러 설계 - 제품계열에 있는 여러 가지 상이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부품 설계, 대량 고객화의 개념 달성 가능

 

 

공급사슬(SCM)과 재고 관리의 연관성

굉장히 복잡한 단어의 열거로 이루어져 있지만, 공급사슬에서 가장 중요하게 관리해야 할 부분은 재고입니다. 재고량이 많으면 손해라는 일반적인 문구를 떠올리면 됩니다. 뭐든 팔아야 돈이 남는 원리입니다. 재고를 표현하는 단어 몇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전재고 - 제품의 수요, 리드타임(인도 시간) 등의 불확실한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재고
  • 분리 재고 - 공정을 기준으로 공정 전·후의 재고로 분리될 경우의 재고
  • 파이프라인 재고 - 공장에서 물류센터, 물류센터에서 대리점 등으로 이동 중에 있는 재고
  • 투기 재고 - 원자재 고갈, 가격 인상 등에 대비하여 미리 확보해두는 재고
  • 완충재고 - 어떤 상품의 가격안정과 수요를 조절하기 위한 재고, 가격이 상승했을 경우 팔고, 가격이 하락했을 때는 매입하여, 재품 가격의 안정을 목표로 함

P시스템과 Q시스템

  • 발주기준은 시간과 수량으로 구분할 수 있음, 발주기준을 시간으로 사용하는 재고통제시스템을 P시스템, 발주기준을 수량으로 사용하는 재고통제시스템을 Q시스템이라고 함

ABC재고 시스템

  • 각 재고 품목별로 그 가치나 중요성이 동일하지 않음, A그룹은 재고 부족관련 비용 및 유지비용이 크고, C그룹으로 분류될수록 재고부족 관련 비용 및 유지비용이 작음. A그룹으로 갈수록 재고 부족을 막기 위해 주문 주기가 짧아짐

경제적 주문량(EOQ) 모형

  • 연간 수요량 20,000개, 1회 주문비용 5,000원, 연간 단위당 재고 유지비용 50원, 개당 제품 가격 10,000원
  • 루트 2 X 연간 수요량 X 1회 주문비용/연간 단위당 재고 유지비용 = 경제적 주문량 EOQ 도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