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스토어

개인 사업자, 간이 과세자 홈택스 부가세 신고 방법; SSEM

by hseplanner 2023. 1. 3.

스마트 스토어 운영, 구글 블로거 애드센스 수익 등 직장 외 부수입이 어느 정도 발생한다면, 세금에 대해 조금씩 궁금점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저 또한 그러한 과정 중에 있고요, 연간 매출 4,800만 원 이하의 간이 과세자는 어떤 부분을 신경 써야 하는지 정리해 봤습니다.

 

 

 

○ 간이 과세자 신고 주기; 부가 가치세, 종합 소득세

○ SSEM 무료 정산 후기

 

간이 과세자가 알아야 할 과세 구간과 신고 주기

스마트 스토어, 블로그 운영 등 최근 부수입이 조금씩 생기면서 세금에 대한 공부 중입니다. 아직 연간 매출 4,800만 원 미만이기 때문에 부가세는 면제 대상이지만, 신고의무는 있다고 확인되어, 국세청 홈택스에서 신고 처리를 해보았습니다. 근로소득자로서 연말정산에는 익숙하지만, 사업자로서 과세에 관한 부분은 익숙하지 않아, 틈날때마나 상기시키려고 노력 중입니다. 귀찮지만 당연히 신경 써야 하는 부분으로 인생 시스템에 녹여놔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간이과세자-세금기준-종류-설명사진
국세청-세금기준

 

위 표와 같이 크게 1. 부가가치세, 2. 종합소득세로 나뉘는데요, 간이 과세자가 레벨 1단계라고 가정했을 때, 차근차근 레벨 업하면서 일반 과세자, 법인의 순서로 당장 직면한 문제를 풀어 나가는 것이 최대한 머리 안 아픈 방법입니다. 간이 과세자도 연간 매출 4,800만 원 이상이라면, 세금 계산서 발급 대상입니다. 개인적으로 세금을 내더라도, 소득을 높이고 싶네요~

 

 

 

간이 과세자 부가 가치세 국세청 홈텍스 신고 방법

1월 부가세 신고 기간입니다. 면세 대상이지만 신고 의무는 있기 때문에, 직접 접속 후 신고를 완료했습니다. 검색창에 "국세청 홈택스"를 입력하고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신고/납부" → "부가 가치세" → "간이 과세자" → "정기 신고" 순서로 입장합니다. 

 

이제 순차적으로 확인할 사항이 많습니다. 크게 매입과 매출 비용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인데요, 사업자 등록증이 있고, 사업자 카드 및 계좌가 있다면 자동으로 채워 저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스마트 스토어의 경우 부가세 신고 관련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스토어 이외의 오픈 마켓을 운영 중이라면 각각 확인해 주어야 합니다. 물론 저는 간이 과세자이면서 4,800만 원 미만의 매출이기에 부가세 면제 대상입니다. 

 

간이과세자-부가세-신고방법-설명사진
국세청-홈택스-간이과세자-신고

 

연 매출이 8,000만 원 이상이라면 부가세를 낸 뒤 매입 비용이 매출보다 많을 경우 환급 대상이므로 관리가 철저히 필요합니다. 판매하기 위한 물건을 가져올 때, 세금 계산서를 개인 사업자로 확실하게 해두어야 하는 것을 놓치면 않됩니다. 간이 과세자라 하더라도 4,800만 원 이상의 연간 매출이 발생한다면, 부가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다만, 내가 판매한 서비스가 면세 대상이라면 관계가 없습니다. 

 

이렇게 복잡한 세무 절차는 종합 소득세 신고 기간에도 계속됩니다. 한 가지 좋은 앱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SSEM"입니다. 지금까지 일어났던 매출, 매입 비용을 국세청과 연동해서 한 번에 계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심지어 조회는 무료라고 해서 체험해 봤는데, 굉장히 편리하고 신뢰가 가는 것은 맞습니다. 

 

세금신고-간편앱-SSEM-비용-설명사진
SSEM

 

종합 소득세의 경우 오픈마켓뿐만 아니라, 이것 저것 생각해야 할 내용들이 많아서 5월에는 "SSEM"을 이용해 보려고 합니다. 직장 다니면서, 부업하기도 힘든데 여러 가지 세금 관련 내용까지 신경 쓰기가 만만치 않네요 그래도 돈 많이 벌고 세금 많이 내고 싶습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온라인 쇼핑몰 간이과세자 부가세 면제! 부가세 신고 방법#1

댓글